전체 글15 윤임과 윤원형의 대립 조선 중기 권력의 역사 조선 중기, 궁궐 안은 언제나 조용하지만 치열했습니다. 특히 중종에서 명종에 이르는 시기, 외척 윤임과 윤원형의 대립은 궁중 정치의 복잡성과 권력의 잔혹함을 그대로 보여주는 사건입니다. 을사사화(1545)는 단순한 정쟁을 넘어, 외척 정치의 어두운 단면이 실록에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1. 문정왕후의 등장과 외척 정치의 서막문정왕후(윤씨)는 중종의 계비로, 그녀의 오라버니가 바로 윤원형입니다. 반면 중종의 첫 번째 왕비인 장경왕후의 친정은 윤임 집안이었고, 장경왕후가 낳은 아들 인종이 즉위하면서 윤임은 외척으로서 권력을 얻게 됩니다.하지만 인종은 건강이 좋지 않아 8개월 만에 죽고, 문정왕후의 아들 명종이 어린 나이로 즉위하게 되자 궁중 권력의 무게추는 다시 문정왕후와 윤원형 쪽으로 기울기 시작합니다.. 2025. 8. 2. 광해군 역사의 평가가 엇갈리는 비운의 제왕 광해군(光海君, 1575~1641)은 조선왕조에서 가장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 군주입니다. 그는 정치적 비극의 상징인 동시에, 실리외교와 국방 강화에 뛰어난 감각을 보인 국왕이었습니다. 조선왕조실록과 인조실록에 기록된 그의 모습은 냉혹한 권력자이자, 앞서간 외교 전략가로 동시에 존재합니다. 1. 왕이 되었으나, 왕이 아니었던 삶광해군은 선조의 둘째 서자로 태어나 정통성 면에서 불안정한 입장이었습니다. 그러나 임진왜란 발발(1592년) 이후 분조(分朝)를 이끌며 정국 운영을 주도하면서 실질적인 지도력과 군사 경험을 갖춘 후계자로 부각됩니다.선조는 죽기 전 광해군을 왕세자로 책봉했지만, 정통 논쟁은 계속되었고 즉위 이후에도 서인과 대북파 등 신하들 사이의 권력 갈등2. 실리외교: 명(明)과 청(後金) 사이에.. 2025. 8. 1. 정약용 조선을 다시 설계한 역사의 실학자 정약용(1762~1836), 조선 후기의 대표적 실학자이자 개혁 사상가. 그는 18년간의 유배 생활 속에서 무려 500여 권의 저술을 남겼고, 그 사상은 오늘날까지도 행정·법률·경제 등 다방면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실록은 그를 “사색이 깊고 실용에 밝은 인물”로 기록하고 있으며, 오늘날 그는 조선을 다시 설계한 사상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1. 명문 집안에서 태어난 조선 지식인정약용은 경기도 남양 출신으로, 외가와 처가 모두 노론 명문이었습니다. 젊은 시절 성균관에서 유학을 공부하며, 천주교를 접한 점에서 시대의 경계를 넘는 사고를 보여줍니다.1792년 과거에 급제해 정조의 총애를 받으며 규장각 검서관으로 활동했고, 수원 화성 건축, 지방 행정 개혁에 기여하면서 실무형 관료로 두각을 나타냅니다.2... 2025. 8. 1. 세조 조선의 통치 체계를 설계한 역사의 개혁가 조선 역사에서 가장 논쟁적인 왕 중 한 명, 세조(世祖). 그는 수양대군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조카인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른 인물입니다. 왕권 찬탈이라는 피로 물든 정치 행보 속에서도 그는 조선의 통치 체계를 정비한 개혁가로도 평가받습니다. 조선왕조실록 속 세조는 이처럼 영웅과 역적 사이에서 복합적인 인물로 남아 있습니다. 1. 수양대군, 왕이 될 뜻을 품다세조는 세종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뛰어난 무예와 정치 감각을 보였으며, 형 문종의 죽음 이후 어린 단종이 즉위하자 정국의 주도권을 잡기 시작합니다.정치적 경쟁자인 김종서, 황보인 등 훈신 세력과 대립하며 점차 군사력을 키워갔고, 1453년 계유정난(癸酉靖難)을 일으켜 김종서 일파를 숙청합니다. 이는 조선에서 가장 조직적이고 성공.. 2025. 7. 31. 정도전 유교로 나라를 설계한 역사의 혁명가 정도전(鄭道傳, 1342~1398)은 조선을 단순히 '세운' 인물이 아닙니다. 그는 고려의 붕괴 속에서 새로운 질서를 고민했고, 유교 이념을 중심으로 한 국가 체제를 '설계'한 정치 철학자였습니다. 태조 이성계의 책사이자, 조선왕조의 사상과 제도, 권력 구조를 구상한 정도전은 실록에서 가장 강렬하게 기록된 인물 중 한 명입니다. 1. 고려의 마지막, 새로운 나라를 꿈꾸다정도전은 고려 말 혼란한 사회 질서 속에서 성리학을 통한 이상 국가 건설을 꿈꿨습니다. 공민왕 시절 성균관에서 공부하며 명나라 유학을 받아들였고, 권문세족의 부패와 불교 권력에 회의를 품게 됩니다.그는 이성계와 손잡고 위화도 회군에 동참하며 역사 무대에 등장했고, 이후 조선 건국의 핵심 이론가로 활동하게 됩니다.2. ‘조선’을 설계한 정.. 2025. 7. 31. 한국전쟁의 역사 분단의 고착과 민족의 비극 1950년 6월 25일 새벽, 북한군이 38선을 넘어 남침하면서 한국전쟁(6·25전쟁)이 발발했습니다. 이 전쟁은 단순한 남북 간 무력 충돌이 아닌, 냉전체제 속 이념 대결의 상징이자 한반도에 분단 고착과 민족적 비극을 남긴 결정적 사건이었습니다. 1. 전쟁의 배경: 분단 체제와 냉전의 충돌1948년 남북한 각각 단독 정부가 수립된 이후, 한반도는 서로 다른 이념과 체제로 분열되었습니다. 특히 양측은 서로가 정통 정부임을 주장하며 통일을 위한 무력 시도를 모색했습니다.북한: 소련의 지원 아래 군비 확장, 통일 전쟁 준비남한: 미국의 간접 지원 아래 정부 수립과 경찰 중심 질서 유지냉전 격화: 1949년 중국 공산화, 소련의 핵 보유 → 미국 긴장 고조이러한 상황에서 북한은 1950년 6월, 전격적인 남.. 2025. 7. 30. 이전 1 2 3 다음